어르신 세대는 디지털 정보 활용에서 비교적 취약하지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활용해 가족과 소통하거나 정보를 찾고자 하는 수요가 높습니다.
이러한 정보 격차를 줄이고 디지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 와이파이 설치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실버세대가 자주 찾는 경로당, 복지관, 공원, 버스 정류소 등에 와이파이를 제공함으로써, 통신비 부담 없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공공 와이파이란 무엇인지, 어르신 대상 설치 지역, 이용 방법과 유의사항, 지역별 사례 등을 간단하고 실용적으로 안내합니다.
1. 공공 와이파이란
공공 와이파이는 지자체나 공공기관, 통신사가 협력하여 시민에게 무료로 Wi-Fi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서울시의 경우 'S‑Net 스마트서울 네트워크' 사업의 핵심으로서, 거리·공원·광장·복지시설·버스정류소 등 생활공간 전역에 설치가 계획되었습니다.
이용자는 별도 요금 없이 공공 와이파이 SSID에 접속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입력 없이 바로 연결되는 경우도 많아 쉬운 접근이 가능합니다.
2. 서울시의 Kkachi On 와이파이 설치 현황
서울시는 ‘Kkachi On’이라는 브랜드로 공공 와이파이를 운영하며, **1,400여 개의 실내 복지시설(노인복지관 등)**에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31,000여 대의 공공 와이파이 AP가 설치·운영 중이며, 연말까지 노후 AP 700여 대 교체 및 인기 시설 500여 곳 신규 설치를 진행 중입니다.
와이파이 속도도 WiFi 6·6E 기반으로 개선되었으며, WPA3 보안규격을 적용해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3. 어르신 접근성 중심 설치 장소
경로당, 노인 복지센터, 주민센터 등 어르신이 자주 방문하는 시설에 공공 와이파이 설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김포시, 인천 연수구 등 여러 지자체에서 전 경로당에 Wi‑Fi 설치를 완료하였고, 경로당을 어르신의 '디지털 사랑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도 복지시설 중심의 실내형 와이파이 확대 정책을 실행 중에 있어, 어르신이 쉽게 연결 가능한 환경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4. 대중교통 및 공공장소 설치 사례
서울시내 시내버스 7,405대, 마을버스 1,499대에 공공 와이파이 설치를 2020년까지 완료하였고, 지하철 및 버스정류소, 공원 등 대중교통 주변에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전국 도시지역 버스 29,100대에 5G 백홀 기반 와이파이가 탑재되었으며, 이는 이동 중에도 안정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5. 어르신이 쉽게 와이파이 이용하는 방법
-
Wi-Fi 설정 활성화: 스마트폰 설정에서 Wi-Fi를 켜고 ‘SEOUL_Secure’ 또는 Kkachi On SSID를 선택하세요.
-
최초 접속 시 설정: Android는 PEAP 및 인증서 설정, iOS는 인증서 신뢰 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앱 활용법: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앱을 설치하면 내 주변 와이파이 위치 검색 기능 활용 가능.
-
자동 연결 설정: 초기 설정 후에는 어르신이 해당 지역에 가면 자동으로 연결되므로 반복 접속이 용이합니다.
6. 지역별 설치 사례 비교
지역 | 설치 대상 | 특징 |
---|---|---|
서울시 | 경로당, 공원, 버스·지하철, 복지센터 | 와이파이 31,000대, WiFi6 보안규격 지원 |
광주광역시 | 전 경로당 | 어르신 중심 설치 완료, 지역 정보 접근성 강화 |
김포시, 인천 연수구 등 | 경로당 및 복지시설 | 지역 내 전체 어르신시설 대상 설치 완료 |
전국 도시버스 | 시내·마을버스 29,100대 | 이동 중에도 인터넷 사용 가능, 5G 기반 속도 확보 |
7. 유의사항 및 도움 받을 창구
-
보안 설정: 공공 와이파이는 무료이지만, 민감한 금융정보 입력은 피하고 HTTPS 연결을 우선하세요.
-
개인정보 보호: 로그인 정보 저장은 피하고, 공용 단말 사용 시 반드시 로그아웃하세요.
-
문의처 및 지원: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운영센터나 정보통신보안담당관에게 문의 가능하며, 장애 발생 시 권역별 장애처리기동대가 대응합니다.
-
교육 및 안내 요청: 주민센터, 복지시설에서 스마트폰 및 인터넷 사용 교육을 요청하면 지원 가능.
8. 마무리 및 콜투액션
어르신 대상 공공 와이파이 설치는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까운 경로당이나 복지시설, 공원, 버스정류소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니 외출 시 스마트폰 설정과 정보 확인 습관을 권장드립니다.
▶ 추천 행동:
-
스마트폰 Wi-Fi 설정 열어서 SEOUL_Secure 또는 Kkachi On SSID를 미리 등록
-
서울시 공공와이파이 앱 설치 후 내 주변 설치 장소 확인
-
경로당이나 주민센터에 와이파이 안내 요청 및 사용법 교육 신청
-
인터넷 사용 중 이상 느껴질 경우 즉시 복지 담당자 또는 서울시 운영센터에 문의
0 댓글